성곽의 배수 및 방어의 중요한 시설인 수구와 수문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규모의 크기에 따라 수구와 수문으로 구분되며, 우수 배출과 외적 방어를 동시에 수행한다. 수문의 구조적 특징과 홍예로 경간을 구성한 홍예수문의 형식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수구와 수문
성벽의 붕괴원인 중 배수가 원활하지 못해 일어난 현상인 경우가 많다. 성벽에 마련된 배수시설 중 규모가 작아 배수구멍을 작게 둔 것을 편의상 수구라 하고, 규모가 큰 경우에는 수문이라 하는데 성곽의 시설 중 일부이어서 별도로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철책이나 철문을 달아 관리해야 한다. 수구나 수문은 성내에 집수된 우수를 성 밖으로 내보내기 위한 시설로 지형 여건이나 필요에 따라 하천을 성내로 통과하게 하는 예도 보인다. 성벽에서 수문이나 수구를 마련하여야만 성벽이 온전하게 보존되는 중요한 기능이 있어 수문을 성벽의 보호시설에 포함하여 설명하였다. 성곽의 여건상 성내에서 마련된 물이 부족하여 성 바깥의 물을 성내로 끌어들여 성내를 통과하게 하거나 자연하천을 성내에 포함하여 축성함으로써 수문이 조성되는 경우도 보인다. 그 외 대부분 성내에서 집수된 물을 자연 지세에 따라 물이 모이면서 배수되어야 하는 지점에 필요한 규모의 수문이나 수구를 마련하였다. 성벽에서 배수용량이 부족하거나 물이 수구로 배수되지 못해 성벽이 침구되거나 토압을 견디지 못해 성곽이 무너지는 경우가 가장 흔한 예로 계곡 쪽의 성벽이 무너져 없어진 원인은 배수용량의 부족에서 비롯된다 하겠다.
구조적 특징
성곽의 수문은 성곽시설의 일부 구조물이면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통수단면을 지녀야 하는 구조물이다. 성곽은 방어시설물이기 때문에 수로를 따라 접근하는 외적을 막고, 물은 잘 빠져나가도록 하는 기능의 시설물이다. 그래서 성곽수문에는 철문이나 철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성곽의 수문시설은 통수단면을 지닌 공간을 이어주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상부에 얹힌 하중이 일반다리보다 훨씬 많아 평거형의 수문보다는 홍예형의 수문이 유리하다. 하천을 끼고 있는 규모가 큰 성곽에서의 수문은 폭이 넓게 조성되어야 하는 여건이어서 하천 폭에 필요한 연속홍예를 틀고 그 상부에 성벽의 연결성이 유지되게 하였다. 일부 산성에서는 단칸 또는 여러 칸의 평거형의 수문형식이 보이고, 일부 집수면적이 넓은 성곽의 수문은 성벽의 일부구간을 터놓은 개거형의 수문도 마련되었다. 예로 북한산성의 대서문 옆의 수문과 담양 금성산성의 서문 남측의 수문 등이 대표적인 개방형의 수문으로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방형의 수문인근에 수직청이나 수직소를 두어 외적을 감시하거나 퇴치할 수 있는 초소를 마련하였다. 대개의 수문은 성곽의 일부로 연결성이 유지되어야 하는 필요에 의해 수문과 좌우측의 성벽이 연결되어 성벽을 따라 회곽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그래서 성곽에 마련된 수문 폭은 최소한의 회곽 통로와 여장을 마련할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예로 수원화성의 북수문과 남수문(유실)이 있고, 탕춘대성의 홍지수문, 강화산성의 석수문(이전 복원됨) 그 외 고흥읍성의 서문리와 옥하리의 홍교 등이 남아 있다.
홍예수문
수문은 이 철문은 물은 통하고, 침투하는 외적을 막을 수 있게 격자의 철재로 마련하여 여닫을 수 있게 하든가, 아예 고정된 철물시설을 하였다.특히 문경 제1관문 서측의 대형의 수문사진 자료에 의하면, 단칸의 홍예수문은 특이하게 고정된 철책문이 아니고, 홍예수문의 내부에 마련된 철문이 오르내리도록 한 형식으로 운용된 특이한 예도 보인다. 성곽에 마련된 홍예수문은 홍예로 경간을 구성함으로써 폭도 넓히고, 구조적으로도 안정되게 하였다. 홍예수문의 경간은 평균 3~4m이고 홍예형수문의 높이는 지반에서 반원형의 홍예를 조성해 올리는 것이 아니고 홍예기석을 1~2단 올린 다음 반원형의 아치를 틀어 올리는 형식이어서 홍예수문의 수문높이는 홍예 폭보다 다소 넓은 4~5m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홍예교의 경우는 홍예 상부에 바닥 돌을 깔고 다리바닥 면을 조성하는 것이 많으나 성곽의 홍예수문의 경우는 몇 단의 내부석축이 더 이루어지고 난 다음 성벽의 상부면이 조성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부의 상재하중이 큰 특징을 지니고 있다. 지금까지 수구와 수문, 구조적 특징, 홍예수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